
안녕하세요. 혀코입니다.
이번 시간에는 자바스크립트의 재귀함수(Recursive Function in JavaScript)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재귀함수란 함수 안에 자기자신을 다시 호출하는 함수를 말합니다.
코드를 예로 들자면 아래와 같은 함수입니다.
function recursive() {
recursive()
}
recursive()
이 함수를 잘 보면 아시겠지만 무한하게 자기 자신을 호출해서 끝나지가 않습니다. 그래서 if 와 else 조건문 형태를 반드시 같이 써줘야 합니다.
if와 else 조건문과 함께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코드가 됩니다.
function recursive() {
if (condition) {
} else {
recursive()
}
}
recursive()
여기서 condition 이 true라면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하지 않으므로 프로그램이 무한히 돌지 않고 루프를 빠져나갈 수 있습니다.
이것을 바탕으로 카운트다운 프로그램을 작성한다고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function countdown(num) {
let countNum = num
console.log(countNum)
if (countNum > 0) {
countNum--
countdown(countNum)
}
}
countdown(10)
위 코드를 실행해보면 아래와 같이 출력이 되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.

이렇게 자바스크립트의 재귀함수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
해당 정보가 유용하셨다면, 공감과 구독 부탁 드립니다.
감사합니다. :)
댓글